2022년 05월 18일 시그널입니다.
우선 미국 증시는 다우지수 +1.34%, 나스닥 종합 +2.76%, S&P500 +2.02% 오랜만에 모두 상승했습니다.
미국의 모든 주요지수 다우 운송, 필라델피아 반도체 상승했습니다. 다음은 국내 증시입니다. 코스피 +0.21% 상승, 코스닥 +0.65% 상승했습니다. 코스피 기관은 -3,419억 매도, 외국인 +2907억 매수입니다. 코스닥은 기관, 외국인 모두 매도가 강했습니다.
한탑(002680) 코스닥
총괄요약
- 시가총액 1112억 원입니다.
- 시가총액 순위 코스닥 기준 870위 소형주입니다.
- 외국인 비율은 0.30%입니다.
- 52주 최고가 4,280원 최저가 987원입니다.
- 당일 거래량 69,944,371주 거래되었습니다.
- 당일 거래대금 250,126백만입니다.
- 제분, 사료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 PER 관련 정보 없습니다.
- 동일업종 PER 12.06배입니다.
- PBR 2.03배입니다.
- BPS 1,942원입니다.
- 동일업종 등락률 +0.96%로 상승했습니다.
관련 내용
며칠 전 시장에 이미 나왔던 인도 밀 수출 금지 소식으로 뒤 늦게 관심을 받았습니다.
1등 종목의 관심이 2등, 3등 종목으로 옮겨 다닌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미 나왔던 소식이라, 재료의 신선함은 부족해 보입니다.
재무 추이
3년 매출액은 흑자입니다.(2019년 922억, 2020년 773억, 2021년 789억)
3년 영업이익 적자입니다.(2019년 -78억, 2020년 -103억, 2021년 -46억)
3년 당기순이익 적자입니다.(2019년 -67억, 2020년 -156억, 2021년 -97억)
3년 부채비율 200% 선에서 상승 하락입니다.((2019년 259.74억, 2020년 137.09, 2021년 160.40)
자본 유보율 적자입니다. (위험합니다.)
매출은 발생하고 있으나 적자입니다. 재무 전망은 좋지 않습니다.
전자공시
2022년 03월 분기보고서 기준입니다.
1959년 설립되어 소백 분과 배합사료를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1995년 코스닥에 상장되었습니다.
본사는 부산시 남구에 있습니다.
최대주주 민 특수관계인 지분율은 32.67%입니다.
사업비중은 제분이 67.7% 가장 많으며, 그다음이 사료 17.0%입니다.
제분 - 밀을 미국, 캐나다, 호주 등으로 수입하여 이를 분쇄, 가공하여 밀가루를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원재료인 밀은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환율 및 국제 가격 동향에 연관이 많습니다.
계절적 특성은 없습니다.
제분업의 최대 수요처인 대기업 위주의 식량산업의 기간산업적 특성으로 인해 시장의 규모는 유지되고 있습니다.
성숙기에 접어든 시장 및 업계 특성상 제품 가격의 변화가 가장 큰 경쟁요소입니다.
현재 감사의견은 없습니다.
차트
기관은 -8622 매도입니다.
외국인은 +1,787,462 매수입니다.
전일대비 905원 올라 +29.87% 등락했습니다.
월봉상 바닥은 1130원대입니다.
밀 가격 상승 재료가 꺾일 경우 1100원대까지 내려갈 수 있습니다.
주봉상 최근 럭비공처럼 급등락을 많이 하여 위험합니다.
일봉상 전고점 가격인 3500원을 상당한 거래량으로 뚫었습니다.
4월 말 긴 위꼬리를 달고 내려온 캔들이 버티고 있어 위험합니다.
긴 위꼬리 가격인 4,280을 뚫으면 기술적 상승이 기대됩니다.
기술적 분석상 개인적 판단으로는 일봉상 어제 긴 꼬리, 4월 27일 장대긴 꼬리로 추가 상승세는 없어 보입니다.
주봉상으로도 근처에 아주 긴 꼬리를 형성하고 있어 좋지 않습니다.
월봉으로도 긴 꼬리가 앞을 막고 있습니다.
오직 재료의 테마로 올라온 주식입니다.
앞으로의 패턴은 앞서 인도 밀수출 호재를 받은 사조 동아원을 따라갈 거라 생각합니다.
하락장인 요즘 대부분 비슷한 관련 테마주인 듯합니다.
크게 주요 내부 테마는 복구, 전쟁으로 인한 물자 부족 및 수출 제한 품목의 가격 상승 기대심리인 것 같습니다.
평화가 임박할수록 수출 제한 품목은 재료의 신선함이 사라지고, 복구 쪽에 관심이 옮겨 갈 듯합니다.
공부를 하기 위해 관련 이슈를 정리하다 보니, 국내 주식장은 대부분 테마주인듯합니다.
댓글